고등학교 일본어 교과 서술형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태에 관한 연구
- 주제(키워드) 일본어 교과 , 서술형평가 , 교사 인식 , 실태
-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조영남
- 발행년도 2012
- 학위수여년월 2012. 8
- 학위구분 석사
- 학과 교육대학원 일어교육전공
- 원문페이지 80 p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korea/000000035205
- 본문언어 한국어
- 제출원본 000045716899
초록/요약
논 문 개 요 21세기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국가경쟁력을 좌우하는 것은 창의적인 인재 육성이다. 이러한 패러다임의 변화와 사회의 요구를 반영하여 교수·학습, 교수법, 평가 방법, 생활 지도 등 다양한 측면에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평가 방법에서는 서술형평가를 도입하여 문제해결력과 사고력 신장을 통하여 창의적 능력을 갖춘 인재 육성을 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바꾸고 있다.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선택형 평가보다는 서술형 평가를 실시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국가교육과정에 따라 경기도교육청은 2009년부터 서술형평가를 실시해 오고 있다. 점진적으로 서술형평가 비율을 늘여, 2012년부터 국어, 영어, 수학, 과학, 사회는 서술형평가를 30% 이상 실시하는 방침이다. 일본어 교과는 아직은 의무화하고 있지는 않지만, 단위 학교의 자율성 강화에 따라 다른 교과와 같이 30%를 서술형평가로 출제하고 있는 학교도 있다. 일본어 교과는 아직 지필평가에서 서술형평가를 의무로 출제해야 하는 규정은 없다. 하지만 경기도교육청은 2013년 서술형·논술형 평가를 전교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일본어 교과에서 서술형평가가 전면적으로 의무화가 되기 전에 서술형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앞으로 교사들이 준비해야 할 사항이 무엇인가를 파악해보고자 한다. 그리고 실태 분석을 통하여 일본어 교과의 특성에 맞는 서술형평가는 무엇인지를 진단해보고자 한다. 서울시교육청은 2005년부터 서술형평가를 실시하였고, 도입 실시된 이후 6년이 지났지만, 서술형평가에 대하여 문항제작, 채점 기준이 애매모호하다, 채점의 객관성만을 확보하기 위하여 단답형 문항 위주로 출제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이 일본어 교과에서는 반복되어 발생하지 않도록 서술형평가에 대한 준비가 잘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본 연구는 경기도교육청 소속의 현직 교사 3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고등학교 일본어 교과 서술형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실태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인식 조사를 통하여 교사들은 서술형평가에 대하여 일본어 교과의 특성에 맞는 다면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아직 서술형평가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태 조사를 통해서 일본어 교과의 특성에 맞는 서술형평가를 실시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게 되었고, 평가에 대한 문제점이 일어나지 않도록 교사는 전문성을 신장시켜야 함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교사들이 서술형평가 도입의 목적과 필요성을 재인식해야할 필요성을 알게 되었으며 학습자들의 사고력과 문제해결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서술형평가로 실시되어야 함을 알게 되었다. 또한, 성공적인 서술형평가 실시를 위해서 교사는 문항제작에 대한 전문성과 신뢰성과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는 채점 절차에 대한 전문성을 신장 시켜야 함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것은 타 교과의 연수를 일본어에 접목시키는 것이 아니라 일본어 교과의 특성에 맞는 문항 제작 개발이 이루어져야 함을 알았다. 본 연구는 일본어 교과 서술형평가에 대하여 교사들이 재인식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고, 교사들이 서술형평가 문항 제작과 채점에 대한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한 자극이 되었다는 점에 의의를 둘 수 있다. 또한 국어, 영어, 수학 교과와 같이 이미 실시되고 있는 교과 이외의 교과에서 서술형평가를 통하여 학습자의 사고력과 문제해결력을 육성하고자 하는 일본어 교과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향후 본 연구에서 발전되어 일본어 교과의 특성에 맞는 서술형평가 문항 개발에 관한 연구와 서술형평가를 실시하고 있는 학교의 출제 문항 분석을 통하여 문제점을 개선하는 방안을 모색해 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일본어 교사들이 양질의 서술형 평가를 통하여 학습자의 전인격적인 성장을 돕는 조력자로서 노력한다면 앞으로 일본어 교육은 더욱 발전해 나갈 것이다.
more목차
Ⅰ.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1.2 연구 방법 4
1.2.1 연구 절차 4
1.2.2 연구 대상 4
1.2.3 연구 과제 8
1.3 선행연구 9
Ⅱ. 이론적 배경
2.1 교육평가의 목적과 평가 문항 유형 14
2.1.1 교육평가의 목적 14
2.1.2 평가 문항의 유형 16
2.2 평가관의 변화와 현황 19
2.2.1 교육패러다임의 변화 19
2.2.2 교육평가의 현황 19
2.3 서술형평가 22
2.3.1 서술형평가의 개념 22
2.3.2 서술형평가 문항의 분류 24
Ⅲ. 일본어 교과 서술형평가 실시에 대한 교사의 인식
3.1 일본어 교과 서술형평가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28
3.2 서술형평가의 고등정신능력 신장에 대한 인식 30
3.3 서술형평가의 도입 시기와 반영 비율에 대한 인식 31
3.4 서술형평가의 결과 활용에 대한 인식 35
3.5 서술형평가 실시상의 중요 요소에 대한 인식 36
3.6 서술형평가에 관한 교사 연수에 대한 인식 39
3.7 서술형평가 실시에 대한 교사 인식의 종합적 고찰 43
Ⅳ. 일본어 교과 서술형평가의 실태 분석
4.1 서술형평가의 도입 시기 및 실시 영역에 대한 실태 45
4.2 서술형평가와 고등정신능력 신장과의 관계에 대한 실태47
4.3 서술형평가의 결과 활용에 대한 실태 47
4.4 서술형평가 실시상의 중요 요소에 대한 실태 48
4.5 서술형평가 실시에 따른 문제점에 대한 실태 51
4.6 서술형평가와 수업의 연계성에 대한 실태 53
4.7 서술형평가의 실태에 대한 종합적 고찰 54
Ⅴ. 결론 및 제언 55
참고 문헌 59
부록1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