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라디오 드라마 형성과 장르 특성
초록/요약
본 연구는 라디오의 전성기였던 1950년대 후반부터 1960년대 말까지 라디오 드라마를 연구하였다. 이 시기 라디오 드라마 프로그램 제도 및 편성 등을 바탕으로 당시 라디오 드라마의 형성 배경을 살펴보고, 이 시기 라디오 드라마의 장르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우선 본고의 2장에서는 1960년대 라디오 드라마의 형성배경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1960년대 라디오 드라마와 직접적인 영향관계에 있던 방송 환경, 제작 시스템, 방송 비평 활동 등을 정리하여 1960년대 라디오 드라마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구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첫째, 1960년대는 연속극이 본격적으로 정착이 되며 유행되던 시기였다. 이러한 연속극 시스템은 이전 시기 라디오 드라마 체제에 있어 중심이 되었던 단막극에도 영향을 주었다. 둘째, 1960년대는 라디오 드라마의 인기가 급속도로 상승하면서 작가 부족 현상이 나타났다. 드라마 생산과정에서 작가에 의존하는 경향은 강했지만 방송작가 인원은 방송되는 작품양에 비해 적었다. 따라서 라디오 드라마의 다양성, 전문성 등에 대한 요구는 높아져갔으나 그에 따라 방송 인력이 충분히 채워지지 않는 경우가 현실이었다. 당시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해결책을 강구되었는데 그 중에서 본 논문은 방송 극본공모제 와 학생 방송극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이 시기에 신인양성을 위한 제도 이외에 기존의 방송인들 중 방송발전에 기여한 바를 인정하여 방송발전에 기여도가 높은 방송인을 시상하는 방송문화상 제도를 살펴보았다. 셋째, 이 시기에는 많은 양의 라디오 드라마가 생산되던 시기였기 때문에 점차적으로 라디오 드라마의 작품성에 대한 문제도 거론되기 시작하였다. 방송극은 양적으로 극대화된 반면 작품의 수준에 있어서는 미달되는 경우도 많았기 때문에 우려의 목소리가 높았다. 그러므로 본격적으로 방송에 대한 평가, 분석을 시도하는 세미나를 열고 보다 발전적인 방송을 유도하기 위한 활동들이 시작되었다. 본 논문은 방송문화연구실을 중심으로 한 모니터 제도와 청취율 조사 활용 등을정리하고 이 제도가 당시 방송극에 미친 영향력을 분석했다. 다음으로 신문, 잡지 등 방송국 외부에서 방송에 대해 평가, 분석하는 비평적 활동들이 활발해졌는데, 이를 정리하고 그 의미를 생각해보았다. 3장에서는 1960년대 라디오 드라마의 장르가 형성, 정착되는 과정에서 나타난 경향들과 각 장르에 해당하는 작품들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1960년대 라디오 드라마의 주요 장르를 멜로드라마, 홈드라마, 역사드라마, 국책 홍보드라마로 보고 각 장르들의 형성, 정착, 변화 등을 살펴보았다. 또한 각 장르에 해당되는 몇몇 작품들을 통해 당시 라디오 드라마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멜로드라마는 1960년대 전반에 걸쳐 가장 유행한 장르였다. 멜로드라마는 1956년 대중들에게 주목받은 <청실홍실>이 기점이 되어 점차 중심 장르로 성장했다고 볼 수 있다. 방송극에서 멜로드라마의 정착과 성행은 <청실홍실> 탄생을 전후로 한 다양한 국면들과 연결되어 있다. 우선 <청실홍실> 이전에 대중적으로 인기를 모았던 프로그램 <인생역마차>의 영향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다음으로 1950년대 후반부터 라디오 드라마가 영화화되는 현상을 통해 그 영향관계를 생각해 볼 수 있다. 라디오에서 멜로드라마는 1950년대 후반 영화와 더불어 성장했다고 볼 수 있다. 1950년대 후반 형성된 멜로드라마의 관습들은 라디오 시대를 지나서 텔레비전 드라마로 이어지며 현재 한국 멜로드라마의 전형처럼 자리 잡았다. 그러나 수용자의 반응, 유행 문화에 따라 멜로드라마는 새로운 전략을 요구받았다. 홈드라마는 1960년대 멜로드라마와 함께 꾸준히 그 자리를 지키고 있던 장르이다. 1960년대 라디오 홈드라마는 가족 중심의 이야기로 형식적인 면에서 연속 홈드라마와 시추에이션 홈드라마라는 두 가지 형태로 존재했다. 1960년대 라디오 홈드라마는 계속해서 이야기가 이어지는 시리얼 형태의 연속극과 매회 독립적 구성 방식을 가지는 시리즈 형태가 공존하고 있었으며, 두 가지 방식 모두 홈드라마라는 의미로 통용하였다. 1960년대 중반부터 시추에이션 형태의 홈드라마가 큰 비중을 차지했기 때문에 이 시기부터 홈드라마를 칭할 때 시추에이션 홈드라마라는 의미로 통용되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1960년대 라디오 역사드라마는 멜로 장르 다음으로 영화화됨으로써 당시 사극영화의 성격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 적지 않은 영향력을 미쳤다. 라디오에서 역사드라마는 다른 장르 못지않게 개념이나 정착 과정 등에 대해 구체적으로 밝혀진 바가 없다. 당시 역사드라마의 개념과 범위는 상당히 광범위하게 적용되었다. 또한 역사드라마에서 허구와 역사적 사실에 대한 논란은 당시에도 활발했다. 1960년대 역사드라마 방송의 논란은 대체적으로 역사적 사실에 대한 고증 부분이었으며 많은 부분이 언어, 즉 대사와 관련된 부분이었다. 점차 역사드라마에 대한 청취율이 높아지자 작품을 창작하는 데 있어서 소재, 줄거리의 다양성에 대한 논란들도 시작된다. 과거의 역사적 사건이나 인물을 소재로 할 때, 어떤 부분에 초점을 두느냐에 따라서 다양한 작품이 생산될 수 있다. 그러므로 역사드라마 창작에 있어서 작가의 상상력 비중이 점차 커지기 시작한다. 국책 홍보드라마는 1960년대 라디오 드라마 중 시대적 분위기를 가장 잘 드러내준다는 점에서 독특한 장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는 국책 홍보드라마의 목적극적 성격이 잘 나타내고 있는 대표적 작품 <김삿갓의 북한 방랑기>를 통해서 당시 반공의식을 라디오 드라마를 통해 어떻게 선전, 강화 시켰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특집 단막극 중 몇 작품에 나타나 있는 국가 정책 홍보, 계몽성 등의 성격을 파악해보았다. <김삿갓의 북한 방랑기>는 당시 공산체제에 시달리는 북한동포의 참상을 국민에게 알려주자는 의도에서 방송되었던 반공드라마이다. 이 드라마 프로그램은 자율 방송 시스템에서 운영되었다기보다 관주도적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므로 프로그램의 지속적 방송과 홍보 등에 적극적 지지를 받을 수 있었다. 다음으로 특집이라는 타이틀이 붙는 기념 단막극은 정부와 국민의 유대관계를 형성시키고 하나의 공동체라는 의미를 강화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이러한 한국방송의 특집 기념 드라마는 6·25 전쟁 이후 방송국이 안정적인 구도에 진입한 후부터 본격적으로 제작된다. 마지막으로 이외에도 언급해야 할 장르로 추리 드라마와 다큐멘터리 드라마를 정리하였다. 추리 드라마는 1960년대 라디오 드라마에서 대중들에게 큰 호응을 받지 못했고 적극적으로 제작되지도 않았지만 당시 새로운 장르의 시도라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는 장르이다. 1960년대 후반부터 본격적으로 정착이 된 다큐멘터리 드라마는 텔레비전 드라마 시기로 넘어간 1970년 초 라디오 드라마 장르 중에서 가장 지속적으로 제작되었으며 대중들에게 향유되었던 장르라는 점에서 정리 할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 본 연구결과를 살펴볼 때, 라디오 전성시기인 1960년대의 라디오 드라마 연구는 현재 빈틈으로 남아 있었던 방송극의 숨겨진 지점들을 복원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현재는 향유되지 않은 매체라는 특성상 주목받지 못한 라디오 드라마는 당시 영향력이 컸음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다. 그러므로 1960년대 라디오 드라마에 대한 구체적인 접근은 당시 대중들에게 적극적으로 향유되던 작품을 정리하고 그 의미를 밝히는데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이처럼 복원된 라디오 드라마라는 틈은 1970년 이후 텔레비전 시대와의 연결고리를 만들어 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more목차
Ⅰ. 서론 1
1. 문제 제기 및 연구사 검토 1
2. 연구대상과 연구방법 8
Ⅱ. 라디오 드라마의 형성배경 19
1. 연속극과 단막극 체제의 변화양상 19
(1) 연속극의 정착과 성행 19
(2) 단막극 축소와 새로운 역할 분담 29
2. 신인 작가 양성과 전문인 육성 정책 43
(1) 방송극본 공모제와 학생 방송극제 43
(2) 방송문화상와 방송장려상 제도 51
3. 방송 전문 시스템과 영향 55
(1) 청취자 여론 조사의 활용 56
(2) 방송비평 활동의 증대 61
Ⅲ. 라디오 드라마의 장르와 그 특성 73
1. 멜로드라마의 강세 74
(1) 멜로드라마의 정착과 유행배경 75
(2) 라디오 멜로드라마의 작품 특성 86
2. 홈드라마의 탄생과 정착 101
(1) 홈드라마의 용어와 범주의 변화 101
(2) 라디오 홈드라마의 작품 특성 110
3. 역사드라마의 경향과 의미 124
(1) 역사드라마의 의미 규정과 용어사용 논란 126
(2) 라디오 역사드라마의 작품 특성 133
4. 국책 홍보드라마와 계몽의식 146
(1) 반공 드라마의 대중성 확보 전략 151
(2) 특집 기념극과 선전효과 162
Ⅳ. 한국 라디오 드라마의 의의 174
Ⅴ. 결론 178
<참고문헌> 183
<부록> 라디오 드라마 방송 목록 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