朝鮮 仁祖代 經筵 運營의 樣相과 變化
초록/요약
인조대 경연은 반정의 정당성 강화와 광해군대 중지된 정치제도의 활성화 목적에서 시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경연은 반정의 정당성 강조뿐만 아니라, 朝會․常叅․引見 등에 비하여 가장 일반적인 君臣간의 引接 방식이라는 점에서 國政論議를 위한 현장으로서 인조대 경연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었다. 경연의 제도적 운영에 관해서는 경연의 종류와 진강 빈도, 경연관의 운영, 논의 구조 등을 중심으로 서술하였다. 이를 통해 본 인조대 경연 운영의 실상은 대체로 조선전기의 경연 운영을 준행하면서 시행과정에서 제도적 유연성을 가지고 운영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山林職의 검토와 같이 조선전기와는 다른 측면에서 경연을 운영하려고 하는 시도들도 발견된다. 한편으로 인조대 경연은 君臣간 引接을 통한 國政운영의 주된 현장으로 기능하였으므로 이와 관련한 논의들도 경연을 통해 집중적으로 다루어졌다. 대체적인 경향은 진강 중에는 홍문관원을 중심으로 운영되었고, 진강이후에는 知事나 特進官을 중심으로 국정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특히 경연 내의 국정논의 과정에서 논의의 내용은 논의자의 實職과 밀접한 관계를 가질 뿐만 아니라, 실직과 관계는 없다고 하더라도 경연직제를 통하여 입시한 관원들의 자유로운 토론이 진행되었으므로, 보다 다양한 시각의 논의들도 발생하고 있었다. 그리고 경연에서 다루어진 논의들은 朝廷 內外로 확산되면서 국정운영의 주요한 현장으로 기능하였다. 따라서 인조대 경연은 국정운영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운영되었다. 반정직후 경연은 공신과 비공신 사이의 입장을 견제․조정하는 방향으로 활성화되었다. 이것은 경연이 가지고 있는 제도적 측면과 함께, 경연에서 진강되는 교재들이 원칙적인 입장에서 국왕 및 반정공신들을 규제하는 방향으로 작용하였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반정공신들도 경연을 통해 자신들의 정치적 입장을 표현하거나, 실제 자신들의 정치적 입장이 반영된 정책적 건의들을 함으로써 당시 국정운영상의 균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점차 경연은 정치세력간 견제와 조정보다는 정치적 대립의 장으로 변화하게 되었다. 이에 관한 실질적 사례는 관직 제수와 관련한 老西와 少西의 대립과 元宗追崇 과정에서 발견된다. 이는 국정운영에서 특정 정치사안에 대해 경연이 직접적인 논의의 장이 됨과 동시에 정치적 대립의 양상이 君臣간의 정치적 대립으로 작용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경연은 더 이상 정치세력간 조정의 역할을 담당하기 보다는 정치적 대립의 장으로 설정되었다. 그리고 대립의 양상이 다수의 관료와 국왕을 중심으로 한 소수 관료들의 관계로 나타났기 때문에 논의의 쟁점이 심화될 경우에는 인조가 召對를 통해 관료의 입시를 제한하거나, 혹은 경연 자체를 시행하지 않음으로써 반대 공론을 차단하기도 하였다. 특히 이러한 경향이 경연의 횟수가 감소하면서 발생하였다는 사실에서 당시 경연의 성격 변화와 횟수 감소는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그러나 그 횟수가 줄어들었음에도 불구하고 인조대 전반기까지 경연이 인접체계 내에서 주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사실은 유지되었다. 병자호란 이후 인조의 권위 실추와 함께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재개된 경연은 병자호란 이전과 마찬가지로 국정논의의 장으로 기능하였음에도 인조 17년(1639) 이후 인조의 건강 악화로 인해 중지되었다. 그런데 경연의 중지는 인조의 건강악화라는 표면적인 이유와 더불어, 병자호란 이후 국정운영상의 변화와 관련이 있었다. 하나는 척화론으로 상징되는 삼사를 중심으로 한 정치세력을 국정논의 내에서 배제하려는 데에 있었고, 다른 하나는 인조대 경연이 가졌던 국정논의 기능의 제도적 한계 때문이었다. 그리고 경연의 중지와 동시에 비국인견이 정례화되면서, 이후 국정운영을 위한 인접의 방식도 비국인견으로 제한되었다.
more목차
1. 머리말 1
2. 仁祖代 經筵의 복원과 정치적 位相 5
3. 仁祖代 經筵 運營의 실제 13
1) 經筵의 종류와 進講 빈도 13
2) 經筵官의 輪番 入侍 방식 20
3) 經筵에서의 論議 구조 28
4. 仁祖代 經筵과 國政運營의 관계 35
1) 反正直後 政治勢力의 재편과 經筵 35
2) 정치적 대립의 심화와 經筵 운영의 변화 39
3) 丙子胡亂 이후 經筵의 중지와 그 의미 52
5. 맺음말 59
부록 63
<부록 1> 仁祖代 經筵現況 63
<부록 2> 仁祖代 引見의 횟수 66
<부록 3> 仁祖代 引見의 종류 67
<부록 4> 仁祖代 經筵日記 69
<부록 5> 仁祖代 經筵의 過程 : 朝講 71
참고문헌 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