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판 의료관광일본어 관련 교과서의 분석
- 주제(키워드) 의료관광일본어
-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이한섭
- 발행년도 2012
- 학위수여년월 2012. 2
- 학위구분 석사
- 학과 교육대학원 일어교육전공
- 원문페이지 63 p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korea/000000032963
- 본문언어 한국어
- 제출원본 000045692027
초록/요약
2009년에 의료법을 개정하여 외국인환자유치사업을 촉진한 한국에 의료관광을 목적으로 입국하는 외국인은 앞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여기서 필요하게 되는 것이 언어서비스이다. 의료서비스를 받는 데에 있어서 의사소통은 필수적이고 의료라는 특성상 적합한 언어 구사능력이 요구된다. 현재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이나 한국의료관광코디네이터협회 등이 의료관광에 관한 인재를 양성하고 있으나 현장 의료관광 종사자가 다니기에는 쉽지가 않고 한자와의 간단한 의사소통을 목적으로 하는 사람도 마찬가지다. 거기서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이 누구나 쉽게 구할 수 있는 시판 의료관광일본어 교과서이다. 그러기 때문에 현장 의료관광 종사자의 니즈를 충족시키고 적합한 언어 및 표현이 수록된 교과서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의료관광일본어 관련 교과서는 몇 권 있으나 아직 그 교과서에 어느 정도 현장의 니즈를 반영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조사는 없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시판되고 있는 의료관광일본어 관련 교과서가 현장 의료관광 종사자의 니즈를 어느 정도 반영하고 있는지 분석하고 개선점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현장 의료관광 종사자의 니즈를 알아보기 위해 현장 의료관광 종사자에게 의료관광일본어 교과서에 수록하는 것을 원하는 표현이나 내용 등에 대해 현장조사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조사에서 얻은 니즈를 토대로 현재 시판되어 있는 의료관광일본어 관련 교과서 4종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와 교과서를 현장조사 및 설문조사에 대답한 의료관광 종사자에 제시하여 원하는 내용이 어느 정도 있는지 등 의견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구성에 대해서는 진료과별로 되어 있어서 찾아보기가 쉽고 각 진료과별로는 대화편도 있으며 실전적이라는 의견이 많았던 것으로 보고 니즈가 반영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내용에 대해서는 다양한 치료 안에서 교과서의 분량에 맞게 몇까지를 찍어서 수록하기 때문에 니즈를 완전히 반영할 수는 없으나 부족하다고 답하는 종사자가 적지 않아 있는 것으로 보고 니즈가 반영되지 않은 부분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교과서 문자 표기에 대해서는 일본어학습경험이 없는 종사자는 히라가나를 읽는 법까지 한글로 표기하는 것을 원하고 일본어를 어느 정도 할 수 있는 종사자는 일본어 원문만 표기하는 것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과서의 단원별 구성에 대해서는 주요단어, 주요표현, 대화편으로 되어 있는 것은 좋으나 주요표현보다 대화편의 비중이 더 많으면 좋겠다는 의견이 많은 것으로 보고 대화를 중심으로 한 문장예시를 선호하는 것이 밝혀졌다. 이와 같이 의료관광 종사자의 요구를 생각하여 만들어진다고 예상되는 시판 의료관광일본어 교과서에 대해 이번 조사에서 얻은 것과 같은 현장 의료관광 종사자의 요구와의 차이가 발생한 것은 니즈 파악이 불충분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외국인환자유치사업이 활발해진 것은 2009년 5월에 의료법이 개정된 이후이며 그것에 대한 통계가 나오는 것은 빨라도 2010년 이후가 된다. 그러나 이번 연구에서 사용한 의료관광일본어 교과서는 2010년에 출판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며 일본인환자가 어떤 진료과에서 어떤 내용의 진료를 받았는지에 대한 통계자료 및 실제로 일본인환자의 대응을 하는 현장 의료관광 종사자의 요구의 파악이 충분하지 않았다는 것이 하나에 이유로 볼 수 있다. 또한 일본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관광 정보 사이트에서 소개되는 병원이나 진료내용에 대한 기사에 일본인 관광객이 영향을 받아 일본인 관광객이 선호하는 진료내용이 달라진 가능성도 있어 현장 의료관광 종사자의 요구와 차이가 생겼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위에서 고찰한 내용을 참고로 하면 앞으로 의료관광일본어 교과서를 개발할 때 필요한 것은 방한 일본인의료관광객의 통개 분석과 니즈분석 및 현장 의료관광 종사자의 요구조사에서 얻은 데이터를 교과서 내용에 최대한 살리는 것이다. 또한 일본어학습경험에 상관없이 현장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내용 및 구성을 가진 실전적인 교과서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more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2. 선행연구 …………………………………………………………… 2
3. 연구방법 및 대상 ………………………………………………… 3
Ⅱ. 본론…………………………………………………………………… 5
1. 한국의 의료관광…………………………………………………… 5
1.1 한국의료관광의 실태…………………………………………… 5
1.2 외국인환자유치 의료기관과 유치업자 ……………………… 8
1.3 의료관광관련 전문직……………………………………………12
2. 의료관광 일본어 교과서의 종류와 내용 ………………………13
3. 의료관광 일본어 니즈분석 ………………………………………18
3.1 조사 응답자의 속성 ……………………………………………18
3.2 현장 조사 결과 …………………………………………………20
3.3 교과서 분석………………………………………………………21
3.4 분석 후 의견조사 ………………………………………………40
4. 의견조사 결과와 교과서에 대한 논의 …………………………44
Ⅲ. 결론……………………………………………………………………50
참고문헌……………………………………………………………………54
부록…………………………………………………………………………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