假面劇의 非言語的 象徵과 意味에 관한 硏究 : 봉산탈춤 노장과장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위에 관하여
-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 발행년도 2004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국어교육전공
- 식별자(기타) DL:000005719741
- 본문언어 한국어
- 서지제어번호 000045119731
초록/요약 도움말
본 연구의 목적은 봉산탈춤 노장과장의 극적 전개와 진행 과정에서 비언 어적 상징과 요소들이 의사소통 행위에 미치는 의미들을 분석 고찰하는 것 이다 이와 같은 연구를 위해 장에서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위에 대한 이론 . 2 적 배경으로 정의와 기능 그리고 특성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그리고 본 연 . 구의 분석적 기틀이 되는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분류를 일곱 가지 유형 즉 , 신체언어 신체적 접촉 공간적 행위 신체적 특성 의사 언어 시간적 행위 , 집단 특성으로 구분하였다. 장에서는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일곱 가지 유형에 따라 노장의 비언어적 3의사소통 행위를 서술적 분석방법으로 설명하였다. 신체언어는 신체 및 신체적 움직임에 의한 의사소통 행위를 의미한다 노 . 장과장의 의사소통은 음성언어 대사 와 함께 신체적인 움직임이나 상징적인 행위들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노장과장의 무언극적 특성은 신체적 . 인 움직임과 상징들이 언어행위를 대신하는 주된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따 . 라서 노장과장에 표현되고 있는 신체언어 즉 고갯짓 제스처 자세 춤 등의 상징적인 몸짓은 연희자들 사이의 의사소통은 물론 관객들에게 감정이나 반응을 전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고갯짓은 긍정과 부정 . , 수긍과 거절을 제스처는 손짓과 팔짓으로 구분하며 지시와 지적 공격 분 , , , 노 산통 등을 의미한다 자세는 상반신 하반신 신체의 높이로 나뉘어 의 , . , , 미를 표현하고 있으며 인물들의 춤사위의 특징은 배역이나 성격에 따른 의 미를 분화시키고 있다. 신체적 접촉은 시선 손과 팔 그리고 신체와 신체간의 접촉행위로 분류하 , 였다 시선은 길이 동반하는 몸짓 응시하는 각도나 자세 시선의 상호성 . , , , , 시선의 집단성에 따라 의미가 분화되고 손이나 팔의 접촉 방법과 대상에 따 라 의미가 분화되다 그런가 하면 노장과장에 등장하는 신체적인 접촉은 끌 . 어안는 행위로 옆과 앞 그리고 뒤에서 끌어안는 행위로 구분되며 상대에 , 대한 수용과 친밀성을 드러내고 사랑이 깊어지며 성적인 관계를 의미하고 있다. 공간적 행위는 거리 혹은 영토에 대한 개념과도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었 으며 친밀 공간 사적 공간 사회적 공간 공공 공간으로 구분하였다 또 공 , , , , . 간적 행위는 접근하기 유지하기 물러나기에 따라 동일한 공간적 행위에 , , 있어서도 의미가 분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친밀공간은 근접성과 함께 . 사랑이나 성행위 혹은 갈등이나 싸움을 의미하고 사적 공간은 자존과 권리, 심리적 안정을 위해 보호되어야 하는 공간이나 이를 무시하는 먹중들에 의 해 노장이 놀림과 조롱을 당하고 있음을 드러낸다 사회적 공간은 먹중들이 . 노장 위해 재를 올리고 염불을 하는 의식의 공간으로 존재를 드러내고 있으 며 공공의 공간은 가면극 놀이마당의 원형적 특성과 수평적 특성 개방적 , 특성이 제시하는 무대 공간의 대동성 수평성 열린공간의 자유로움과 함께 , , 민중적 의미를 표현하고 있다. 신체적 특성은 외모나 외형적 특성이 의사소통에 미치는 비언어적 상징으 로 가면극의 특성상 가면의 형태와 색 복색 과 상징 소도구의 종류와 , ( ) , 의미 등으로 분류하였다 취발이는 가면부터 복색 소도구에 이르기까지 온 . , 통 재액과 벽사적인 상징물로 무장을 하고 있으며 지배적이고 승리자의 복 색을 지니고 있다 먹중들은 취발이와 비슷한 신체적 특성을 유지하고 동일 . 한 상징과 기능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방위를 상징하는 복색을 띠고 있다. 그런가 하면 노장은 늙고 힘이 없으며 죽음이 가까운 노인이나 색탐 , ( ) 이 강한 승려이다 두드러지지 않는 중성적인 복색과 의식을 상징하는 가사 . 를 걸치고 있다 소무는 귀하고 아름다우며 결혼하는 여인의 복색으로 몹시 . 화려하고 성숙한 여성성을 드러내고 있다 신장수는 농익은 서민의 색을 지 . 니고 있으며 수탈의 대상으로 약자이다 원숭이는 생김이나 몸짓까지 온통 . 사람을 모사하고 있는 동물로서의 의미를 표현하고 있다. 의사언어는 목소리에 의한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위인데 노장과장의 의사 언어는 불림 웃음 억양 목소리의 크기 침묵 그리고 장단 등으로 분류하 , , , , , 였다 불림은 일종의 언어에 대한 동의 절차와 의사소통에 대한 규칙이며 . 장단을 부르고 또 멈추게 하며 정숙을 요구하기도 한다 웃음에도 먹중들 , . 의 비웃음과 집단 웃음 신장수의 허탈감과 어처구니없는 웃음 취발이의 , , - 133 - 과시적이고 자신에 참 웃음은 충분히 인물들의 성격과 역할은 물론 상황에 대한 의미를 파악케 한다 억양이나 목소리도 강세 고저 장단 . ( ), ( ), 强 高 크기 등의 요소들이 의미를 분화시키며 조롱과 과시 예의 등 ( ), ( ) , 短 의 의미를 분화시키고 있다 침묵은 주로 노장과 소무의 표현 방식으로 노 . 장의 권위와 함께 인간적인 갈등을 표현하고 소무 성격과 역할에 대한 상상 력을 확대하고 있다 장단 또한 등장인물들의 성격과 배역에 따른 춤과 몸 . 짓을 지원하고 상황에 따른 극적 의미를 분화시키는 비언어적 의미소로서 작용하고 있다. 시간적 행위는 노장과장에 드러나는 시간 및 시간적 순서에 관련되어 의 미를 분화하는 요소로 음성의 정지 반복적인 행동과 순차적인 시간 사건 , , 의 구성과 시간적 의미 등으로 구분하였다 음성의 정지 에 관한 시간 . ( ) 적 의미는 말의 긴장감과 극적 효과를 의미한다 먹중들의 반복된 행동과 . 순차적인 시간을 통해 표현되는 의미는 조롱과 비하 폭로와 공론화를 의미 , 한다 또 노장과장 전체의 스토리 전개에 관련된 의미행위로 노장과 먹중의 . 등장으로부터 소무 신장수 취발이의 관계를 통해 노장의 파렴치와 몰이배 , 적인 성향이 강조되고 결국 취발이에 의해 징치되어 파멸을 맞이하는 스토 리가 일련의 시간적 순서 속에 사건들이 배치되어 극적 의미를 분화시키고 있다. 집단의 특성은 집단의 규모 성격 구조 등으로 분류하였다 이 노장과장 , , . 의 전개와 진행에 집단적 특성이 미치고 있는 유의미한 상징들은 주로 먹중 들에 의해 들어 난다 먹중들은 여덟 명으로 개인의 의미를 떠나 사회적 의 . 미를 드러낸다 먹중들은 팔 방위를 의미하는 신이거나 무의 절차를 통해 . 사악한 악귀를 내쫓는 무당들로 곧 민중의 대리자들이다 먹중들은 집단으 . 로 순차적인 행동을 통해 사회악인 노장의 허위와 세속성을 폭로하고 이를 공론화 한다 먹중들의 이와 같은 유의미한 상징들은 집단의 구조 속에서도 . 드러난다 외형적으로는 노장을 위하는 척하나 내심으로는 집단 구조 속에 . 도 상반되는 의미를 드러내고 있다 구조적으로 집단의 중앙에 노장을 배치 . 하여 노장 중심의 집단 형태를 이루고 있으나 내포적으로는 그 반대의 의미 를 표현하고 있다 집단의 끝 등장 사회적 공간인 무대로 끌고 나옴 집단 . - ( ), 의 중간 먹중들의 확인 절차 집단에 의한 조롱과 공론화 반원의 가운데 - ( ), - 타령 세속성의 폭로 원형의 중심 염불 극단적인 희화화 의 의미들을 분화 ( ), - ( ) 시키고 있다 또 노장은 과장에 등장하는 여타의 인물들과 노장은 갈등이나 . 대척점에 놓인 관계로 집단과 개인의 갈등 양상을 표현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노장과장에 표현되고 있는 비언어적인 요소들을 일곱 영역으 로 분류하고 이를 분석해 보았다 봉산탈춤 에 등장하는 비언어적 의사 . 『』 소통의 행위들은 개인적인 표현으로부터 집단적 표현에 이르기까지 사회적 약속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한 집단의 공동체적 삶의 밑바탕에는 문화라는 정신적 산물이 자리하고 있으며 그 문화의 바탕 위에 집단의 의식과 가치가 존재하고 의식과 가치는 공동의 행동방식과 놀이의 형태를 결정한다 따라서 가면극에 등장하는 각 . 종 상징들은 오랜 시간 한국인의 한국적 문화의 바탕 위에서 의사소통을 위 한 각종 상징과 의미의 행위들을 결정하고 발전시켜 왔다. 가면극 그것은 연극이기도 하고 놀이이기도 하다 또 가면극에 등장하는 ! . 동작들은 춤이기도 하고 몸짓이기도 하다 장단에 우리 민족의 감정을 담아 . 내고 가면이나 복색에는 민족 고유의 인물관과 상징성을 표현하고 있다 또 . 거침없는 대사는 민중들의 진솔한 일상성과 함께 지배계급에 대한 부정과 저항을 의미하며 허위의 폭로와 조롱을 의미한다 가면극은 오랜 시간 전승 . 과 발전을 거듭하면서 시대적 바탕 위에 민중들의 사고와 행동을 포괄하는 표현 방식 즉 통용되는 의사소통 행위로 다듬고 보완해 왔다 이와 같은 , . 시간성 역사성은 가면극에 등장하는 다양한 요소들을 유의미한 상징들로 , 다듬어 놓았다 전통을 계승하고 시대적 배경과 정서들을 반영하고 당대의 . 의사소통 방식에 따라 의미들을 상징화하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가면극은 . 극문학으로서의 가치와 음악적 무용적 가치는 물론 언어적 의미나 비언어 , , 적 상징까지도 매우 소중한 의미를 갖게 하며 가면극이 지니고 있는 비언 , 어적 상징체계를 더 깊이 있게 천착 하여 값진 의미 체계들을 발굴하 ( ) 고 더욱 발전시켜 가야 할 귀한 유산이라고 생각한다.
more목차 도움말
목차 = ⅴ
1. 서론 = 1
1.1 연구목적 = 1
1.2 연구사 검토 = 2
1.3 연구방법 = 4
2.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위의 이론적 배경 = 9
2.1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위의 정의 = 10
2.2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위의 기능 = 12
2.3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위의 유형 = 17
3. 노장과장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위 = 23
3.1 신체 언어 = 24
3.2 신체적 접촉 = 54
3.3 공간적 행위 = 71
3.4 신체적 특성 = 82
3.5 의사 언어 = 102
3.6 시간적 행위 = 116
3.7 집단의 특성 = 122
4. 교육적 가치 및 제언 = 128
5. 요약 및 결론 = 130
참고문헌 = 136
부록 1. 분류 기준표 = 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