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리더의 주도성과 배려가 구성원의 혁신적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인지기반 신뢰의 매개효과와 정서기반 신뢰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초록/요약

부하의 혁신행동을 일으키는 리더의 특성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은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리더의 특성이 부하들의 혁신적 업무행동을 촉진시킬 것이라는 가설을 수립하였다. 구체적으로 리더의 주도성과 배려, 부하들의 혁신적 업무행동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변인으로 리더의 주도성과 배려, 결과 변인으로 부하의 혁신적 업무행동을 설정하였다. 이 두변인 사이의 관계를 매개하는 변인으로 인지기반 신뢰를, 인지기반 신뢰와 혁신적 업무행동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변인으로 정서기반 신뢰를 설정하였다. 연구 조사를 위해 국내 기업에 재직하고 있는 회사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가설 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리더의 주도성을 지각한 부하들은 리더에 대한 인지기반 신뢰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지기반 신뢰가 높은 부하들은 자신이 혁신적 업무행동을 많이 하고 있다고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리더의 주도성과 부하의 혁신적 업무행동에서 인지기반 신뢰가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리더에 대한 부하의 인지기반 신뢰와 자신의 혁신적 업무행동 간의 관계에서 정서기반 신뢰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그리고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more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제2장 이론적 배경 3
제1절 주도성 3
1. 주도성의 개념 3
2. 주도적인 행동 3
제2절 혁신적 업무행동 7
1. 혁신의 개념 7
2. 혁신적 업무행동의 개념 8
제3절 신뢰 10
1. 신뢰의 개념 10
2. 신뢰의 유형 11
1) 인지기반 신뢰 12
2) 정서기반 신뢰 12
3) 신뢰 대상의 특성 13
제4절 배려 14
제3장 연구가설 및 모형 15
제1절 연구가설 15
1. 리더 주도성과 인지기반 신뢰의 관계 15
2. 인지기반 신뢰와 부하의 혁신적 업무행동의 관계 16
3. 인지기반 신뢰의 매개효과 17
4. 리더 배려와 정서기반 신뢰의 관계 18
5. 정서기반 신뢰의 조절효과 18
제2절 연구가설 종합 및 연구모형 20
제4장 연구조사방법 21
제1절 연구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도구 21
1. 리더의 주도성 21
2. 리더의 배려 21
3. 리더에 대한 신뢰 21
1) 인지기반 신뢰 22
2) 정서기반 신뢰 22
4. 혁신적 업무행동 22
제2절 설문의 구성 24
제3절 표본구성과 자료수집방법 25
1. 표본선정 25
2. 자료수집 25
3. 표본의 구성 25
제5장 연구결과 28
제1절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28
1. 신뢰도 분석 28
2. 타당도 분석 28
1) 리더 주도성 28
2) 리더 배려 31
3) 리더에 대한 신뢰 33
4) 혁신적 업무행동 34
제2절 연구가설 검증 35
1. 상관관계 검증 35
2. 모형검증 36
3. 리더의 배려와 정서기반 신뢰의 관계 검증 39
4. 조절효과 검증 40
제6장 결론 및 논의 42
제1절 연구 결과의 요약 및 해석 42
제2절 연구의 의의 44
제3절 한계점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 45
참고문헌 46
ABSTRACT 50
설문지 51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