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전술데이터링크를 위한 이진트리기반의 라우팅 프로토콜 제안

초록/요약

MANET에서 가장 많이 그리고 가장 집중적으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것이 네트워크 계층의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유선네트워크보다 무선네트워크의 라우팅 프로토콜을 설계하는것은 좀더 복잡하고, 고려해야할 사항이 많다. 특히 MANET환경에서는 네트워크토폴로지의 변화와 낮은 Bandwidth를 고려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MANET환경을 고려한 라우팅프로토콜 설계의 목적은 Data collision이나 네트워크 토폴로지 변화에서 오는 Control Overhead를 줄이는 것에 중점이 되어야 할 것이다. 기존의 여러 라우팅 프로토콜이 MANET환경에서 발생하는 토폴로지 변화, 데이터 충돌과 같은 여러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애드혹라우팅 프로토콜은 크게 On-demand방식과 table-driven방식의 라우팅 프로토콜로 구분할 수 있다. 여러 연구에서 MANET환경에서 On-demand 프로토콜이 table-driven 프로토콜에 비해 우수하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있으나,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조건이 달라지므로 어느 쪽이 절대적으로 우수하다고 단정지을 수는 없다. 하지만 MANET과같이 네트워크토폴로지가 변화하는 환경이라면 On-demand라우팅 프로토콜 더 적절할 것이다. 그러나 Bandwidth가 나쁜 환경에서 Route discovry를 위한 Flooding은 충분히 큰 Control Overhead이다. 반면, 주기적인 Control message 교환을 하는 table-driven라우팅프로토콜은 짧은 Delay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지만 주기적인 네트워크 토폴로지 업데이트는 상당한 Overhead이다. 본논문에서는 낮은 Bandwidth를 가지는 MANET환경에 적합한 라우팅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라우팅프로토콜의 중점은 Data collision과 네트워크토폴로지유지를 위한 control over-head를 최소화 하는데 두었다. Binary tree 형태의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Table-driven방식의 라우팅프로토콜을 적용하여, 라우팅테이블의 단순화, Route discovery나, 테이블업데이트등에의해 발생하는 Overhead를 감소시켰다, 트리형태의 구조를 통해 라우팅경로를 단순화 하였기때문에 라우팅테이블 유지가 용이하다. 특히 새로운 노드의 추가나 이동에대한 update가 단순화되어,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이진트리형태(Binary Tree structure)의 네트워크 구조를 통해 네트워크 노드간 통신에서 Data Collision의 확률낮추었다. 또한 Binary tree 구조는 헤더노드의 멀티캐스트 전파와 자식노드의 수직적인 보고체계의 데이터흐름에 적합하다.

more

목차


제 1 장 요 약 ∙∙∙∙∙∙∙∙∙∙∙∙∙∙∙∙∙∙∙∙∙∙∙∙∙∙∙∙∙∙∙∙∙∙∙∙∙∙∙∙∙∙∙∙∙∙∙∙∙∙∙∙∙∙∙∙∙∙∙∙∙∙∙∙∙ 2

제 2 장 서 론 ∙∙∙∙∙∙∙∙∙∙∙∙∙∙∙∙∙∙∙∙∙∙∙∙∙∙∙∙∙∙∙∙∙∙∙∙∙∙∙∙∙∙∙∙∙∙∙∙∙∙∙∙∙∙∙∙∙∙∙∙∙∙∙∙∙ 3

2.1 MANET이란 ∙∙∙∙∙∙∙∙∙∙∙∙∙∙∙∙∙∙∙∙∙∙∙∙∙∙∙∙∙∙∙∙∙∙∙∙∙∙∙∙∙∙∙∙∙∙∙∙∙∙∙∙∙∙∙∙∙∙∙∙∙ 3

2.2 MANET환경에서의 모바일 노드들의 움직임 특성∙∙ 6

2.3 미래 군전술통신 동향 ∙∙∙∙∙∙∙∙∙∙∙∙∙∙∙∙∙∙∙∙∙∙∙∙∙∙∙∙∙∙∙∙∙∙∙∙∙∙∙∙∙∙∙∙ 8

2.4 전술데이터링크의 문제점 ∙∙∙∙∙∙∙∙∙∙∙∙∙∙∙∙∙∙∙∙∙∙∙∙∙∙∙∙∙∙∙∙∙∙∙∙∙ 9

2.5 Binary tree의 장점 ∙∙∙∙∙∙∙∙∙∙∙∙∙∙∙∙∙∙∙∙∙∙∙∙∙∙∙∙∙∙∙∙∙∙∙∙∙∙∙∙∙∙∙∙∙∙∙ 10

제 3 장 관련연구 ∙∙∙∙∙∙∙∙∙∙∙∙∙∙∙∙∙∙∙∙∙∙∙∙∙∙∙∙∙∙∙∙∙∙∙∙∙∙∙∙∙∙∙∙∙∙∙∙∙∙∙∙∙∙∙∙∙∙∙∙∙∙ 11

3.1 DSDV ∙∙∙∙∙∙∙∙∙∙∙∙∙∙∙∙∙∙∙∙∙∙∙∙∙∙∙∙∙∙∙∙∙∙∙∙∙∙∙∙∙∙∙∙∙∙∙∙∙∙∙∙∙∙∙∙∙∙∙∙∙∙∙∙∙∙∙∙∙∙∙∙ 11

3.2 AODV ∙∙∙∙∙∙∙∙∙∙∙∙∙∙∙∙∙∙∙∙∙∙∙∙∙∙∙∙∙∙∙∙∙∙∙∙∙∙∙∙∙∙∙∙∙∙∙∙∙∙∙∙∙∙∙∙∙∙∙∙∙∙∙∙∙∙∙∙∙∙∙∙ 14

3.3 Binary Tree Based Proactive Routing Protocol ∙∙ 16

3.4 Subarea Tree Routing ∙∙∙∙∙∙∙∙∙∙∙∙∙∙∙∙∙∙∙∙∙∙∙∙∙∙∙∙∙∙∙∙∙∙∙∙∙∙∙∙∙ 17

제 4 장 제안하는 알고리즘 ∙∙∙∙∙∙∙∙∙∙∙∙∙∙∙∙∙∙∙∙∙∙∙∙∙∙∙∙∙∙∙∙∙∙∙∙∙∙∙∙∙∙∙∙∙∙ 18

4.1 Low Overhead Binary Tree Routing Protocol ∙∙∙∙∙∙∙ 20

4.2 트리형성 ∙∙∙∙∙∙∙∙∙∙∙∙∙∙∙∙∙∙∙∙∙∙∙∙∙∙∙∙∙∙∙∙∙∙∙∙∙∙∙∙∙∙∙∙∙∙∙∙∙∙∙∙∙∙∙∙∙∙∙∙∙∙∙∙∙∙∙∙∙∙∙ 26

4.3 트리유지 ∙∙∙∙∙∙∙∙∙∙∙∙∙∙∙∙∙∙∙∙∙∙∙∙∙∙∙∙∙∙∙∙∙∙∙∙∙∙∙∙∙∙∙∙∙∙∙∙∙∙∙∙∙∙∙∙∙∙∙∙∙∙∙∙∙∙∙∙∙∙∙ 36

4.4 데이터 전송절차 ∙∙∙∙∙∙∙∙∙∙∙∙∙∙∙∙∙∙∙∙∙∙∙∙∙∙∙∙∙∙∙∙∙∙∙∙∙∙∙∙∙∙∙∙∙∙∙∙∙∙∙∙∙∙∙∙∙ 38

제 5 장 성능분석 ∙∙∙∙∙∙∙∙∙∙∙∙∙∙∙∙∙∙∙∙∙∙∙∙∙∙∙∙∙∙∙∙∙∙∙∙∙∙∙∙∙∙∙∙∙∙∙∙∙∙∙∙∙∙∙∙∙∙∙∙∙∙∙∙∙∙ 39

5.1 시뮬레이션 수행환경 ∙∙∙∙∙∙∙∙∙∙∙∙∙∙∙∙∙∙∙∙∙∙∙∙∙∙∙∙∙∙∙∙∙∙∙∙∙∙∙∙∙∙∙∙∙∙∙∙∙∙∙∙ 39

5.2 시뮬레이션 파라미터 ∙∙∙∙∙∙∙∙∙∙∙∙∙∙∙∙∙∙∙∙∙∙∙∙∙∙∙∙∙∙∙∙∙∙∙∙∙∙∙∙∙∙∙∙∙∙∙∙∙∙∙∙ 42

5.3 시뮬레이션 결과 분석 ∙∙∙∙∙∙∙∙∙∙∙∙∙∙∙∙∙∙∙∙∙∙∙∙∙∙∙∙∙∙∙∙∙∙∙∙∙∙∙∙∙∙∙∙∙∙∙∙∙∙∙ 43

제 6 장 결 론 ∙∙∙∙∙∙∙∙∙∙∙∙∙∙∙∙∙∙∙∙∙∙∙∙∙∙∙∙∙∙∙∙∙∙∙∙∙∙∙∙∙∙∙∙∙∙∙∙∙∙∙∙∙∙∙∙∙∙∙∙∙∙∙∙∙∙∙∙∙ 44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