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 국제결혼 이주여성들이 보는 한국 드라마의 여성재현 : '아내의 유혹' 사례를 중심으로
- 주제(키워드) 다문화 , 드라마 , 이주여성
-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 지도교수 허철
- 발행년도 2010
- 학위수여년월 2010. 8
- 학위구분 석사
- 학과 언론대학원 방송영상학과
- 세부전공 방송전공
- 원문페이지 62 p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korea/000000024005
- 본문언어 한국어
- 제출원본 000045607494
초록/요약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국제결혼 이주여성들로 인해 우리사회는 다문화사회로 변화하였다. 이들은 한국 사회에 적응하기 위해 한국의 문화와 언어를 익히고 있으며 사회활동 대신 집 안에서 가족들을 통해, TV를 통해 도움을 받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본 연구는 국제결혼 이주여성들은 한국의 드라마를 어떻게 해석하고 받아들이는지를 살펴 문화적인 차이는 물론 한국 드라마의 여성재현에 관한 관점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주여성 중 동아시아 국제결혼 이주여성들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원활한 인터뷰를 위해 이들 여성들이 공통적으로 시청한 드라마 ‘아내의 유혹’의 여성재현을 중심으로 질문지를 구성한 후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우선 동아시아 국제결혼 이주여성들은 이주 초기에는 많은 드라마를 시청하면서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배우고 있었고 드라마가 한국 사회를 반영한다고 판단하였다. 그러나 한국 사회에 적응하고 오랜 기간 동안 반복적으로 드라마를 시청하면서 자신들이 선호하는 특정 장르가 만들어졌다. 또 이들은 한국 드라마에서 보여주는 여성재현에 대해 자신들의 모국의 문화와 많은 차이점을 느끼고 있었으며 한국 드라마에는 가부장적 이데올로기가 내제되어 있다는 것에 동감하고 있었다. 이중 이들이 가장 크게 문화적인 차이를 느끼는 것은 드라마에 자주 출연하는 시어머니와 며느리간의 부정적인 관계 재현으로, 이러한 여성재현은 이주여성들의 실제 한국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한국드라마는 동아시아 국제결혼 이주여성들에게 큰 영향을 주고 있지만 아직 드라마의 여성재현은 시대적 변화에 따라가지 못하고 있고 여전히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또한 한국드라마는 문화와 언어를 배우는 이주여성들에게 좋은 교과서가 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more목차
제 1 장 서 론 .............................................................. 7
제 2 장 문헌연구 ......................................................... 10
제 1 절 다문화 논의 .................................................... 10
제 2 절 이론적 배경..................................................... 14
제 3 장 연구방법 ......................................................... 24
제 1 절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 24
제 2 절 드라마 ‘아내의 유혹’에 대한 분석 ........................ 26
제 4 장 연구결과 ......................................................... 29
제 1 절 동아시아 국제결혼 이주여성들의 드라마 선택 ....... 29
제 2 절 한국 드라마에서 재현된 여성상에 대한 해석.......... 37
1. 드라마 ‘아내의 유혹’ 속 여성상에 대한 관점 ................. 37
2. 드라마 ‘아내의 유혹’ 속 여성 재현에 대한 관점 ............. 40
제 3 절 문화적 차이와 드라마 해독 ................................ 41
1. 고부간의 갈등 ........................................................ 41
2. 드라마에 대한 현실 인식 .......................................... 45
3. 드라마 해독과 문화적 차이 ....................................... 47
제 5 장 결론 및 함의 .................................................... 52
제 1 절 주요 결과의 결론 및 논의 .................................. 52
제 2 절 연구의 한계점과 제언 ....................................... 54
참고문헌 .................................................................... 56
부 록 • 인터뷰 질문지 .................................................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