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의 감성지능, 조직공정성, 신뢰와 조직유효성간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 신뢰의 인지적 · 정서적 접근을 중심으로
- 주제(키워드) 신뢰 , 감성지능 , 조직공정성
-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대학원
- 지도교수 문형구
- 발행년도 2010
- 학위수여년월 2010. 2
- 학위구분 박사
- 학과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 세부전공 경영관리
- 원문페이지 204 p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korea/000000022260
- 본문언어 한국어
- 제출원본 000045592931
초록/요약
새로운 조직관리 방식인 신뢰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으며 신뢰에 따른 조직효과성을 창출하는 문제가 중요시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신뢰를 합리적 의사결정의 산물로서 간주하는 연구경향으로 감성적 측면에 대한 연구노력이 상대적으로 미흡하였다. 기업경영에 있어서 감성경영 마인드가 중요시되고 있으며 특히 감성지능이 점차 기업 경영 현장에서 리더가 갖추어야 할 기본 능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어 최근들어 리더의 감성지능과 조직성과 관련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신뢰자체가 조직 내에서 실시되고 있는 제도 및 의사결정이 어느 정도 기대에 맞을 것이라는 공정성을 포함하는 믿음이기 때문에 조직공정성에 대한 지각과 신뢰형성은 관련이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신뢰가 합리성(rationality)과 감성(emotionality)이라는 두가지 축으로부터 발생한다는 관점 (Lewis & Weiger, 1985)에서 감성적 요인인 리더의 감성지능, 인지적 요인인 조직공정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프로세스에서 메카니즘을 실증 연구하고자 신뢰차원을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이때 상사신뢰의 영향요인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실무에 적용하기 위해서 신뢰의 차원성(dimensionality)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으로 첫째, 팀 리더의 감성지능과 부하의 조직공정성 지각이 상사신뢰형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둘째, 매개변인으로 팀리더에 대한 부하의 인지기반신뢰와 정서기반신뢰을 선정하여 신뢰의 개념적·경험적 다차원성을 검증하였다. 셋째, 신뢰자인 부하의 팀리더에 대한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개인적 특성인 감성요인인 감성지능, 긍정적 정서성과 인지요인인 인지욕구 변인이 조절하는지를 알아보았다. 넷째, 최근 감성지능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데 반해 국내 경영학계에서 감성지능 특히, 리더의 감성지능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기존연구들에서 신뢰와의 관련변수로 고려하지 않았던 감성지능의 효과를 규명하였다. 실증연구결과 리더의 감성지능은 부하의 정서적 몰입과 조직시민행동에 각각 모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밝혀 팀리더의 감성지능이 구성원의 조직태도 및 행동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인지를 규명하였다. 조직공정성 차원인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을 독립변수로 투입한 결과 정서적 몰입에는 절차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이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조직시민행동에는 상호작용공정성만이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조직시민행동에는 인지기반신뢰와 정서기반신뢰 모두 정의 영향력이 검증되었다. 또한 신뢰(인지기반신뢰, 정서기반신뢰)형성의 선행요인으로 리더의 감성지능은 유의성이 검증되었다. 상사의 정서적 측면 뿐 아니라 객관적인 신뢰성에 대한 지각에 상사의 감성관리능력이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한편, 조직공정성의 세 가지 차원 중에 상호작용공정성만이 인지기반신뢰, 정서기반신뢰에 유의한 영향력이 검증되어 조직공정성의 사회적 측면이 부각되었다. 또한 신뢰차원과 조직유효성과의 관계에서 상사에 대한 인지기반신뢰는 정서적 몰입에 유의성이 검증되지 못한 반면, 정서기반신뢰는 정서적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인지기반신뢰와 정서기반신뢰의 차별적 영향력이 검증되었다. 또한 조직시민행동에는 인지기반신뢰와 정서기반신뢰 모두 영향력이 검증되었다. 신뢰차원의 매개효과 분석결과 리더의 감성지능과 정서적 몰입의 관계에서 인지기반신뢰와 정서기반신뢰 모두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리더의 감성지능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인지기반신뢰와 정서기반신뢰는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공정성(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과 정서적 몰입의 관계에서는 상호작용공정성과 정서적 몰입간의 관계에서만 인지기반신뢰와 정서기반신뢰가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조직공정성과 조직시민행동 측면에서는 인지기반신뢰의 매개효과가 유의미하게 검증되지 못하였으며, 조직공정성(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과 조직시민행동 측면에서는 정서기반신뢰의 매개효과가 한계적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조직에 대한 부하의 내면의 심리적 몰입이나 애착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상사에 대한 신뢰가 반드시 필요한 반면, 신뢰라는 메커니즘을 반드시 거치지 않아도 부하의 조직시민행동은 유발될 수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조절효과 분석결과, 인지기반신뢰와 정서기반신뢰의 차별성을 알 수 있다. 즉 인지기반신뢰에 대해서는 부하 감성지능이나 긍정적 정서성향과 같은 감정적 조절변수는 낮은 집단에서 조절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난 반면, 정서기반신뢰의 경우 감성요인의 변수가 높은 집단에서 조절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하의 인지기반신뢰에 대해서는 인지욕구가 높은 집단에서 인지욕구의 조절효과가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시사점을 살펴보면, 첫째, 인지적 관점과 감성적 관점에서 상사신뢰의 매개적 역할을 중심으로 신뢰의 프로세스를 통합적 검증, 둘째, 상사신뢰를 인지적 속성과 정서적 속성으로 개념적 경험적 방법을 통하여 신뢰의 다차원성(multidimensionality) 검증, 셋째, 조직공정성과 상사신뢰의 관계에 있어서 조직공정성의 사회적 측면 중요성 확인, 넷째, 선행연구에서 연구되지 않았던 감성지능과 신뢰와의 관계검증, 다섯째, 인지기반신뢰와 정서기반신뢰에 대한 조절효과의 차별성 검증, 여섯째, 측정방법에 있어서 상사가 부하 개개인의 조직시민행동을 평가한 것으로 동일응답자 편의의 문제에서 벗어나기 위한 방법론적 노력 시도 등이다. 또한 이러한 이론적 시사점을 기반으로 인사조직관리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more목차
목 차
제 1장 서론 1
제 1절 문제제기 1
제 2절 연구목적 및 연구과제 3
제 2장 이론적 배경 및 관련 선행연구 4
제 1절 감성지능 4
1. 개념적 정의 및 구성차원 4
2. 리더십과 감성지능의 관계 7
3. 감성지능의 결과변수 9
제 2절 조직공정성 13
1. 조직공정성의 개념적 정의 및 차원 13
2. 조직공정성의 결과변인 16
제 3절 신뢰 20
1. 신뢰의 학문적 접근 및 정의 20
2. 신뢰의 개념적 차원 22
3. 신뢰의 인지와 감성적 차원 23
제 4절 신뢰의 형성 및 결과 프로세스에 대한 연구 26
1. 신뢰의 영향요인 26
2. 신뢰의 결과요인 30
3. 조직유효성 32
4. 긍정적 정서성 35
5. 인지욕구 36
6. 신뢰의 기존연구의 한계 37
제 3장 연구설계 및 가설설정 40
제 1절 연구모형 40
제 2절 연구가설 42
1. 리더의 감성지능, 조직공정성과 조직유효성 관계 42
2. 리더의 감성지능, 조직공정성과 신뢰차원의 관계 45
3. 상사신뢰와 조직유효성의 관계 49
4. 신뢰차원의 매개효과 51
5. 신뢰자 개인특성(인지, 감성)의 조절효과 54
제 4장 실증연구의 설계 60
제 1절 연구대상 60
제 2절 변수의 측정 및 조작적 정의 60
1. 독립변수 60
2. 종속변수 62
3. 매개변수 63
4. 조절변수 64
5. 통제변수 65
제 3절 설문의 구성 및 설문수집방법 67
1. 설문의 구성 및 사전조사 67
2. 설문수집 67
3. 자료분석방법 68
제 5장 분석 및 결과 69
제 1절 표본의 구성 69
제 2절 측정도구의 신뢰성과 타당성 검증 70
1. 타당성 분석 70
2. 신뢰성 분석 77
제 3절 상관관계 분석 79
제 4절 가설의 검증 81
1. 리더의 감성지능과 조직유효성의 관계 검증 81
2. 조직공정성과 조직유효성의 관계 검증 87
3. 리더의 감성지능과 신뢰차원과의 관계 검증 90
4. 신뢰차원과 조직유효성과의 관계 검증 94
5. 신뢰차원의 매개효과 검증 97
6. 부하의 개인적 특성(감성, 인지요인)의 조절효과 검증 124
제 6장 결론 150
제 1절 분석결과 요약 150
1.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151
2. 신뢰차원의 매개효과 분석결과 152
3. 조절효과 분석결과 153
제 2절 연구의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 155
1.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 155
2. 연구의 실무적 시사점 156
제 3절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 157
참 고 문 헌 159
<부록 1 : 부하(팀원)용 설문지> 176
<부록 2 : 상사(팀장)용 설문지> 183
ABSTRACT 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