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말실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Speech Errors in Korean
-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대학원
- 발행년도 2004
- 학위명 박사
- 학과 대학원:국어국문학과
- 식별자(기타) DL:000014914422
- 서지제어번호 000045161178
초록/요약
본 논문은 국어 말실수 자료들을 필자 이전의 여러 연구들에서 수집하고 그것들을 새롭게 유형화하면서 국어의 음운론적 규칙들과 음소, 형태소, 단어, 구와 같은 언어 단위들의 심리적 실재성 주장을 확인하고 아울러 기본적으로 말실수가 언어수행의 과정에서 어떤 이유로 발생하는지를 포괄적으로 고찰한다. 대체로 말실수는 1)대체와 같이 음운론적, 형태론적, 통사론적 틀 속에서 홈(slot)에 끼우는 식으로 일어나는가 하면, 2)교환이나 예견이나 보존과 같이 어떤 음 연속체나 통사체가 있어서 그 일부를 미리 갖다 발화하거나 나중에 다시 발화하거나 이 과정 중에 삭제하거나 추가하는 것 등이 있다. 그리고 지금까지 말실수 논의는 주로 이 같은 현상에 대해 이루어졌다. 그런데, 말실수는 앞선 연구들이 문제삼지 않은 바, 3)처음 발화된 음절이나 단어 등이 틀린 것이 아닌데도 되풀이하는 것이 있으며 4)말을 진술해 나가다가 통사적 형태를 바꾸는 것 등이 있다. 말실수 연구는 필연 언어산출 과정 논의로 이어진다. 언어산출 과정을 이해함에 있어서, 필자는 어떤 통사적 틀 속에 어떤 언어단위를 끼우는 식의 평면적 이해에 그치지 아니하고 구문(構文)문법 이론, 인지문법 이론, 전산언어학적 관점을 토대로 하여, 어떤 단어나 구가 기억되어 있다고 볼 때, 그 단어나 구를 탐색할 때 활성화되는 시간적 차이가 있다든지, 그 통사적 틀도 시시각각 변화하는 생각 속에 바뀌어간다든지, 또 발화된 말을 화자는 모니터링하며 수정해 간다든지 하는 관점을 갖고 말실수에 대한 해석을 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말실수 논의를 확대하여 음소, 형태소, 단어, 구와 같은 갖가지 언어형태가 습득되어 기억된 것이라고 할 때, 간접적으로 또 무엇이 그 점을 증명하는지를 아동의 언어습득 과정과 그 과정에서의 말실수, 국어 사용자의 관용어 사용과 개인적인 문체의 차이 그리고 언어 변화 등에서 찾아보았다. 끝으로, 본 논문은 언어산출에 대한 이와 같은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국어학에서 오랫동안 문제삼는 이중주어와 이중목적어의 해석 문제나 조사 ‘-의’의 기능적 의미 해석이나 보조적 연결어미 뒤에 오는 ‘-를’의 의미 해석 문제를 의미표상의 과정이나 기억과 그 습관성의 관점으로 처리해야 할 것을 제안한다. <주제어> 말실수(speech errors), 대체, 교환, 예견, 보존, 삭제, 추가, 혼합, 이동, 아동의 말실수, 되풀이하는 말실수, 명제망, 통사적 틀, 심성 어휘집, 활성화와 시간, 기억과 습관화, 언어습득, 언어변화, 사용빈도, 전산언어, 인지문법, ‘-의’와 ‘-를’의 의미. 등
more목차
Ⅰ. 서 론 5
1. 연구의 목적과 의의 5
2. 선행 연구의 검토 14
3. 연구 방법과 논의 방향 24
Ⅱ. 말실수 자료의 수집과 유형화 29
1. 말실수의 정의와 자료수집 29
2. 말실수의 유형화 34
Ⅲ. 말실수의 해석과 원인 분석 41
1. 말실수 각 유형의 해석 44
1.1 되풀이하는 말실수 44
1.1.1 되풀이하는 말실수의 양상과 해석 44
1.1.2 청각적 인지 과정과 명제망의 구조 48
1.2 선택을 잘못하는(대체) 말실수 57
1.2.1 선택을 잘못하는 말실수의 양상과 해석 57
1.2.2 범주화와 심성 어휘집 62
1.3 통사적 형태를 바꾸는 말실수 69
1.3.1 통사적 형태를 바꾸는 말실수의 양상과 해석 69
1.3.2 통사적 틀의 존재와 작용 72
1.3.3 국어의 통사 규칙과 통사적 말실수 81
1.4 대체 이외의 말실수 85
1.4.1 교환·예견·보존·삭제·추가의 말실수의 해석 88
1.4.2 혼합·이동의 말실수의 해석 96
1.5 말실수의 수정 97
2. 말실수의 근본 원인들 100
2.1 언어 내적 원인 101
2.2 언어 외적 원인 103
Ⅳ. 말실수 논의의 확대 105
1. 아동의 언어습득과 말실수 105
1.1 아동의 언어 습득 106
1.2 아동 말실수의 유형 126
2. 관용어와 문체의 문제 132
2.1 관용어의 문제 132
2.2 문체와 개인적 어투 134
3. 망각과 언어 변화의 문제 136
Ⅴ. 말실수 논의의 적용 141
1. 다중주어와 다중목적어의 문제 142
2. 조사 ‘-의’의 기능적 의미 해석 144
3. 보조적 연결어미 뒤의 ‘-를’의 해석 147
Ⅵ. 결 론 149
1. 내용 요약 149
2. 전망과 과제 154
<부록> 말실수 자료 corpus 157
참고 문헌 185
Abstract 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