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집단의 사회적 자본이 집단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 발행년도 2006
  • 학위수여년월 2006. 2
  • 학위명 박사
  • 학과 대학원 경영학과 경영관리전공
  • 식별자(기타) DL:000017000773
  • 서지제어번호 000045279915

초록/요약

논 문 개 요 집단의 사회적 자본이 집단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 구 자 : 박 혜 원 지도교수 : 문 형 구 최근 집단이 조직의 기본 구성단위로서 중요성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기업을 둘러싼 환경이 점점 복잡해지고 예측하기 어려워짐에 따라 기업이 유연하게 대처해야할 필요성이 생기면서 소규모의 작업 집단의 활용도가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집단이 중요해짐에 따라 어떻게 집단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지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기업 전체의 목적을 수행하고 달성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팀들이 자신의 고유 업무를 잘 수행함과 동시에 다른 집단과 긴밀한 협조가 필요하다. 집단이 직면한 불확실성을 효과적으로 다루기 위해 집단 간 자원의존성에 대한 인식과 정보 공유의 필요성이 증가하면서 집단의 성과를 외부적 관점에서 보아야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지금까지 집단의 외부적 활동에 대해서 다룬 연구들은 주로 R&D 조직이나 TMT(Top Management Team) 등 특별한 목적을 수행하는 집단에 주로 한정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이를 일반 작업집단으로 확장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의 사회적 자본이 팀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첫째, 집단이 맺는 다양한 사회적 관계가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정보, 자원, 지원이 매개하는지 알아보았다. 둘째, 집단이 사회적 관계가 있는 다른 팀의 공식적 리더의 수가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정보, 자원, 지원이 매개하는지 살펴보았다. 셋째, 집단 내부의 관계의 수의 분포가 분산되어 있는 정도가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정보, 자원, 지원 등이 매개하는지 알아보았다. 넷째, 다른 집단과의 다양하고 강한 관계가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정보, 자원, 지원이 매개하는지 분석하였다. 다섯째, 집단이 맺고 있는 다른 집단의 많은 리더와 강한 관계가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정보, 자원, 지원 등이 매개하는지 알아보았다. 여섯째, 집단이 획득한 정보, 지원, 자원 등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과업 불확실성과 정보처리역량이 조절하는지(moderate) 알아보았다. 실증연구 결과 다양한 집단과의 과업관계 네트워크가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정보, 자원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집단의 많은 공식적인 리더와의 사회적 관계가 팀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집단과의 다양하면서 강한 관계, 다른 집단의 많은 공식적인 리더와 강한 관계가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정보, 자원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집단 내부에 강한 게이트키퍼가 존재하는 경우에 팀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집단이 획득한 자원과 지원은 과업불확실성이 높은 경우에 팀 성과와 더 많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보, 자원, 지원과 팀 성과와의 관계를 정보처리역량이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연구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볼 때 팀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팀이 다양한 집단과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과 다른 팀의 많은 공식적 리더와 강한 접촉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집단 내부의 강한 게이트키퍼가 존재하는 것이 팀 성과에 더욱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팀이 수행하는 과업 불확실성이 높은 경우에는 자원과 지원을 더 많이 획득하는 것이 팀 성과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주요용어 : 집단, 효과성, 사회적 자본, 사회적 관계, 정보, 자원, 지원, 게이트키퍼, 강한 관계, 과업 불확실성, 정보처리역량, 팀 성과

more

목차

목 차
제 1장 서론
제 1절 문제제기
제 2절 연구목적 및 연구과제
제 2장 이론고찰
제 1절 집단 효과성을 설명하는 요인
1. 집단과 집단 효과성
2. 집단 내부적 관점과 집단 효과성
3. 집단 외부적 관점과 집단 효과성
4. 집단의 외부적 관점과 내부적 관점의 상호작용 효과
5. 기존 외부활동 이론의 한계
제 2절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
1.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의 정의
2. 사회적 자본의 효과
3. 사회적 자본의 차원
4. 관계(tie)의 내용(content)
5. 네트워크의 적절한 균형
6. 연구모형
제 3장 가설 설정
제 1절 사회적 네트워크의 차원과 네트워크 효과
1. 네트워크 다양성과 네트워크 효과
2. 네트워크 다양성의 분포와 네트워크 효과
3. 네트워크 강도와 네트워크 효과
제 2절 네트워크 효과와 팀 효과성
1. 조절변수
제 4장 실증 연구의 설계
제 1절 연구대상의 선정
제 2절 변수의 조작화 및 측정방법
1. 종속변수 : 팀 효과성
2. 독립변수
3. 매개변수
4. 조절변수
5. 통제변수
제 3절 설문의 작성 및 수집
1. 설문의 작성 및 사전조사
2. 설문 수집 방법 및 응답 현황
제 5장 연구 결과
제 1절 표본의 구성
제 2절 측정도구의 신뢰성 및 타당성의 검증
1. 신뢰성(reliability) 분석
2. 타당성 분석
제 3절 가설의 검증
1. 상관관계 분석 및 기술통계
2. 네트워크 다양성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정보, 자원, 정치사회적지원이 매개하는 효과에 관한 검증(가설 1)
3. 다른 집단 리더와의 사회적 관계가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정보, 자원, 정치사회적 지원이 매개하는 효과에 관한 검증(가설 2)
4. 다른 집단과의 과업관계의 분포가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정보, 자원, 정치사회적 지원이 매개하는 효과에 관한 검증(가설 3)
5. 다른 집단과의 다양하고 강한 사회적 관계가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정보, 자원, 정치사회적 지원이 매개하는 효과에 관한 검증(가설 4)
6. 다른 집단의 많은 리더와 강한 사회적 관계가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정보, 자원, 정치사회적 지원이 매개하는 효과에 관한 검증(가설 5)
7. 정보, 자원, 정치사회적 지원과 팀 성과간의 관계를 과업 불확실성이조절하는 효과를 검증(가설6)
8. 정보, 자원, 정치사회적 지원과 팀 성과간의 관계를 정보처리역량이조절하는 효과를 검증(가설7)
제 6장 결론
제 1절 연구결과 요약
1. 팀이 갖는 과업 네트워크가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정보, 자원, 정치사회적 지원이 매개하는가에 대한 분석 결과
2. 팀이 갖는 친구 네트워크가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정보, 자원, 정치사회적 지원이 매개하는가에 대한 분석 결과
3. 정보, 자원, 정치사회적 지원과 팀 성과의 관계를 과업불확실성, 정보처리역량이 조절하는가에 대한 분석 결과
제 2절 연구의 이론적 ? 관리적 시사점
1. 이론적 시사점
2. 관리적 시사점
제 3절 연구의 한계와 미래 연구방향
1. 연구의 한계
2. 미래 연구방향
참 고 문 헌
<부록 1 : 팀원용 설문지>
<부록 2 : 팀장용 설문지>
<부록 3 : 임원용 설문지>
ABSTRACT
표 목차
<표 1> 관계의 내용에 대한 범주
<표 2> 기업의 표본 수
<표 3> 팀의 규모에 관한 통계량
<표 4> 팀의 기능에 관한 통계량
<표 5> 성별 분포수
<표 6> 직급의 분포
<표 7> 신뢰성 분석
<표 8> 급내상관계수(ICC)
<표 9> 요인분석
<표 10> 상관관계 분석
<표 11> 주요 변수의 기술통계량
<표 12> 과업 관계 네트워크 다양성→정보→팀 성과
<표 13> 과업 관계 네트워크 다양성→정보→팀 성과의 Sobel Test
<표 14> 과업관계 네트워크 다양성→자원→팀 성과
<표 15> 과업관계 네트워크 다양성→자원→팀성과의Sobel Test
<표 16> 과업관계 네트워크다양성→지원→팀 성과
<표 18> 다른 집단 리더의 수(과업관계)→정보→팀 성과
<표 19> 다른 집단 리더의 수(과업관계)→자원→팀 성과
<표 20> 다른 집단 리더의 수(과업관계)→자원→팀 성과 Sobel Test
<표 21> 다른 집단 리더의 수(과업관계)→지원→팀 성과
<표 22> 다른 팀의 리더 수(친구관계)→팀 성과
<표 23> 과업관계의 분포→정보→팀 성과
<표 24> 팀장과 팀원의 관계의 수
<표 25> 과업관계의 분포→자원→팀 성과
<표 26> 과업관계의 분포→지원→팀 성과
<표 27> 친구관계 분포→팀 성과
<표 28> 다양하고 강한(친밀성) 과업관계→정보→팀 성과
<표 29> 다양하고 강한(친밀성) 과업관계→정보→팀 성과 Sobel Tset
<표 30> 다양하고 강한(친밀성) 과업관계→자원→팀성과
<표 31> 다양하고 강한(친밀성) 과업관계→자원→팀성과 Sobel Test
<표 32> 다양하고 강한(친밀성) 과업관계→지원→팀 성과
<표 33> 다양하고 강한 과업관계(빈도)→팀 성과
<표 34> 다양하고 강한 과업관계(지속성)→팀 성과
<표 35> 다양하고 강한(친밀성) 친구관계→정보→팀 성과
<표 36> 다양하고 강한(친밀성) 친구관계→정보→팀 성과 Sobel Test
<표 37> 다양하고 강한(친밀성) 친구관계→자원→팀 성과
<표 38> 다양하고 강한(친밀성) 친구관계→자원→팀 성과 Sobel Test
<표 39> 다양하고 강한(친밀성) 친구관계→지원→팀 성과
<표 40> 다양하고 강한(빈도)친구관계→팀 성과
<표 41> 다양하고 강한(지속성)친구관계→팀 성과
<표 42> 많은 리더와 강한(친밀성) 과업관계→정보→팀 성과
<표 43> 많은 리더와 강한(친밀성) 과업관계→정보→팀 성과 Sobel Test
<표 44> 많은 리더와 강한(친밀성) 과업관계→자원→팀 성과
<표 45> 많은 리더와 강한(친밀성) 과업관계→자원→팀 성과 Sobel Test
<표 46> 많은 리더와 강한(친밀성) 과업관계→지원→팀 성과
<표 47> 많은 리더와 강한(빈도) 과업관계→팀 성과
<표 48> 많은 리더와 강한(지속성) 관계→팀 성과
<표 49> 많은 리더와 강한(친밀성) 친구관계→팀 성과
<표 50> 많은 리더와 강한(빈도) 친구관계→팀 성과
<표 51> 많은 리더와 강한(지속성) 친구관계→팀 성과
<표 52> 정보와 팀 성과간의 관계를 과업불확실성이 조절
<표 53> 자원과 팀 성과간의 관계를 과업불확실성이 조절
<표 54> 지원과 팀 성과간의 관계를 과업불확실성이 조절
<표 55> 정보와 팀 성과간의 관계를 정보처리역량이 조절
<표 56> 자원과 팀 성과간의 관계를 정보처리역량이 조절
<표 57> 지원과 팀 성과간의 관계를 정보처리역량이 조절
그림 목차
<그림 1> Gladstein(1984)의 투입 과정 산출 모델
<그림 2> Cohen & Bailey(1997)의 모형
<그림 3> Campion, Papper & Medsker(1996)의 모형
<그림 4> 연구모형
<그림 5> Sobel Test 모형
<그림 6> 자원과 팀 성과간의 관계를 과업불확실성이 조절하는 방향
<그림 7> 지원과 팀 성과간의 관계를 과업불확실성이 조절하는 방향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