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語讀本』에 대한 연구 : 일본의 국정 1기 교과서 『尋常小學讀本』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日語読本』に対する研究:日本の国定1期教科書『尋常小学読本』との比較を中心に
- 주제(키워드) 심상소학독본 , 일어독본 , 근대 일본어교육 , 일본어교육사 , 개화기 일본어교육 , 일본어교과서 비교연구
-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이한섭
- 발행년도 2009
- 학위수여년월 2009. 8
- 학위명 석사
- 학과 교육대학원 일어교육전공
- 원문페이지 70 p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korea/000000009828
- 본문언어 한국어
- 제출원본 000045551604
초록/요약
본 연구는 한국 개화기의 일본어 교과서인 『日語讀本』(1907-1910)과 일본의 국정 1기 국어교과서인『尋常小學讀本』(1904-1909)의 영향관계에 대하여 살펴본 것이다. 『日語讀本』은 통감부 시기 초등교육기관인 보통학교에서 사용할 목적으로 1907년 간행된 최초의 국정 일본어 교과서이다. 1906년 통감부 설치 이후 일본이 주도하는 학부는 교육제도를 개혁하여 일본어 교육을 강력하게 추진하는데, 이에 따라 새로운 제도에 맞추어 사용할 일본어 교과서의 편찬이 시급해졌다. 『日語讀本』은 이러한 사정으로 인해 단시일 내에 편찬되었으나 그 편찬경위나 방침 등에 대해서는 불분명한 점이 많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日語讀本』이 단시일 내에 편찬될 수 있었던 것은 일본의 국어 교과서인 『尋常小學讀本』을 참고로 하였기 때문이라는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두 교과서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교과서 전권을 대상으로 구성 및 체제, 표기 및 문자, 어휘 및 어법, 내용 및 삽화로 나누어 비교, 고찰하기로 하였다. 그 결과 밝혀진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구성 및 체제의 측면에서 두 교과서를 비교해 본 결과, 교과서의 내용구성, 편집방침에 있어 유사한 점이 많아 『日語讀本』이 교과서로서의 기본 형태를 『尋常小學讀本』을 기준으로 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日語讀本』의 내용과 삽화 중『尋常小學讀本』의 것을 그대로 가져오거나 한국의 상황에 맞추어 변형한 것이 여럿 발견되어 『尋常小學讀本』을 노골적으로 참고로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두 교과서에서 제시하는 일본어상은 다소 차이가 있었다. 우선, 문자 학습의 구성과 문자사용 방침은 비슷하였으나 표기방식에 있어서는 『日語讀本』이 출판된 시기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표음식 가나표기법을 채택한 것은 독자적이다. 또한,『尋常小學讀本』에만 나타나는 과도기적인 어휘 및 어법은 『日語讀本』에는 일부만이 반영되었다. 이를 볼 때, ‘일본어’가 아직 통일되지 않아서 그에 대한 모색이 활발했던 시대상의 영향을 받아 『日語讀本』역시 『尋常小學讀本』의 영향 하에 있으면서도 나름대로 일본어상에 대해 모색한 측면이 있었다고 생각된다. 이상, 검토한 내용을 살펴 볼 때 『日語讀本』이 『尋常小學讀本』을 참고로 하여 편찬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尋常小學讀本』을 그대로 베끼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한국의 상황에 맞추어 내용을 조절하고 있는 점, 일본어에 대해서 『尋常小學讀本』과 다른 관점에서 표기하려고 한 점은 『日語讀本』의 독자적인 면이라고 할 수 있다. 일본인에 의해 편찬되었고 그 의도가 한국에 대한 지배를 강화하고자 하는 것이었다는 점은 『日語讀本』의 한계이지만 한국인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려고 하였다는 점에서 한국의 일본어 교과서로서 그 독자성을 인정할 수 있다고 하겠다.
more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선행연구 2
3.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Ⅱ. 본론 5
1. 개화기의 일본어교육 5
2. 통감부의『日語読本』발행 8
2.1 『日語読本』의 편찬과정 8
2.2 『日語読本』판별 비교 12
3. 『尋常小學讀本』의 성립 및 특징 19
4. 『尋常小学読本』과 『日語読本』의 관계 22
4.1 구성․체제 비교 22
4.2 문자 및 표기 비교 31
4.3 어휘 및 어법 비교 41
4.4 내용 및 삽화 비교 46
5. 『尋常小学読本』과 『日語読本』의 관계에 관한 고찰 57
Ⅲ. 결론 60
참고문헌 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