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생활 일본어 과목의 일본음식문화 지도에 관한 연구 : 중학생 일본음식문화 인지도 및 니즈분석을 중심으로
- 주제(키워드) 중학교 생활 일본어 과목의 일본음식문화 지도에 관한 연구
-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전형식
- 발행년도 2009
- 제출일 0108
- 학위수여년월 2009. 2
- 학위명 석사
- 학과 교육대학원 일어교육전공
- 세부전공 일본문화교육
- 원문페이지 73 p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korea/000000008220
- 본문언어 한국어
- 제출원본 000045533411
초록/요약
“언어란, 한 나라의 문화를 비추는 거울이다.”라는 표현이 있을 정도로, 문화는 그 문화를 공유하는 사람들이 사용하는 언어를 통해 가장 잘 드러난다. 즉, 언어와 문화는 불가분의 관계이므로 일본어 교육에 있어 문화교육을 강조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의․식․주 특히, 음식은 그 나라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의 지리적, 환경적, 역사적, 전통적 생활문화를 고스란히 담고 있어서 일본과 일본인을 이해하는데 기본이 되며, 일본인과의 교류에서 음식 및 식사예절에 대한 교육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는 부분이다. 제7차 교육과정은 언어재료로서 문화를 강조하였고, 개정 7차 교육과정에서는 내용체계를 이루는 한 요소로서 문화의 비중과 역할이 커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21세기 미래의 주인공이 될 중학생들에게 일본 음식문화에 대한 이해를 위해, 일본어 교과서 ‘중학교 생활 일본어’에 소개된 일본 음식문화 자료가 미비함을 인식하고, 중학교 일본어 학습자들의 일본 음식문화에 대한 인지도와 니즈를 조사하였다. 앞으로 도입될 개정 7차 교육과정에 학습자들의 인지도와 니즈 분석결과를 반영하여 중학생들이 일본의 음식문화를 구체적으로 이해하도록 함과 동시에 실제 일본인과의 교류에서 적극적인 자신감을 가지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설문조사는 수도권에서 경기도 고양시 오마중학교, 경기도 부천시 석천중학교, 그리고 서울시 상현중학교 3개 학교를 선정하여 조사하였고, 설문지의 내용은〔자료 분석을 위한 기초자료 조사〕,〔일본 문화교육 전반에 대한 설문조사〕,〔식사예절에 대한 설문조사〕,〔음식명에 대한 설문조사〕로 구성하였다. 중학교 생활 일본어 교육현장에서 바람직한 문화교육을 위해서는 학습자들의 인지도와 니즈를 충분히 반영한 교과서의 집필과 교사의 수업이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고자 한다. 교과서에서 단편적인 음식명과 사진나열로 학습자의 흥미유발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보완점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첫째, 단원내용의 구성을 실제로 일본인과 식사를 하는 상황을 고려하여, 일본의 독특한 식생활 문화에 관한 학습자들의 궁금증 해소와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구성해야 한다. 둘째, 회화코너를 일본의 대표적 음식이나 식사예절을 주제로 설정하여 회화연습을 유도함으로써 일본인과의 의사소통능력을 기를 수 있는 텍스트로서의 교과서가 되도록 한다. 셋째, 연중행사 소개할 때, 행사 때마다 관습적으로 먹는 대표적인 일본 전통음식을 간단히 정리하여 소개한다면, 전통문화를 통해 일본의 음식문화를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교사는 문화전달자로서 민감한 한일관계를 고려해 객관적인 입장에서 학습자들과 함께 고민하는 태도를 유지하고, 학습자중심의 체험위주 문화수업을 위해서 문화관련 연수와 일본인과의 적극적인 교류 및 신뢰성 있는 문화정보검색 등과 같은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야 하겠다. 마지막으로 정부차원에서 해외연수 및 홈-스테이와 같은 일본 현지의 생생한 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현장의 일본어 교사들에게 제공해야 할 것이다.
more목차
Ⅰ. 서론 1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2. 선행연구 4
3. 연구방법 및 대상 6
Ⅱ. 본론 8
1. 개정7차 교육과정 중학교 생활 외국어의 특징 8
1.1. 중학교 생활 외국어 목표와 내용체계 8
1.2. 중학교 생활 외국어 문화항목과 문화적 내용 11
2. 중학생들의 일본음식에 대한 인지도조사 14
2.1. 설문조사 14
2.2. 설문지에 대한 결과 분석 15
2.2.1. 응답자 및 기초자료 분석 15
2.2.2. 일본문화교육 전반에 대한 설문조사 20
2.2.3. 일본음식문화에 대한 인지도조사 22
2.2.4. 일본음식문화에 대한 니즈조사 31
3. 중학교 생활 일본어 교과서에 소개된 일본음식문화 37
3.1. 본문 그림 장면 39
3.2. 문화탐방 40
3.3. 자율학습 41
4. 학습자의 일본음식문화 인지도 및 니즈 반영방안 43
4.1. 교과서 43
4.2. 교사의 역할 49
4.3. 교수법 52
Ⅳ. 결론 54
◇참고문헌
◇부록 - <중학생 일본음식문화 인지도 및 니즈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