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비판적 페더고지이론으로 본 중학교 영어 교과서에 나타난 인종차별 연구

초록/요약

교육인적 자원부(2007)가 고시한 7차 중학교 영어교육 과정의 교육 목표를 살펴보면 “중등학교 영어는 초등학교에서 배운 영어를 토대로 하여 학생들이 기본적인 일상 영어를 이해하고 이를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름으로써 외국의 다양한 정보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며 외국 문화를 이해함으로써 우리 문화를 새롭게 인식하고 올바른 가치관을 길러 21세기를 살아갈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바탕을 마련하는 데 역점을 둔다”고 밝히고 있다(p. 204). “영어권 및 비영어권의 다양한 문화를 학습하여 타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문화에 대한 올바른 판단력과 가치관을 기를 수 있도록 한다”고 명시하였다(p. 213). 그렇다면 우리나라 중학교 학생들의 영어 교과 교육과정을 통해 영미 문화권에 대한 문화를 이해하는 가장 기본적인 매체는 무엇일까? 우리와 같은 EFL(English as a Foreign Language)상황에서 영어교과서는 영미 문화권에 대해 직접적으로 접해 보지 못한 많은 학생에게 문화적인 정보를 전달해 주며 학생들의 가치관 형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교재로 사용된다. 따라서 교사는 교실상황에서 교과서를 주된 교재로 사용하므로 이러한 교과서의 중요성을 고려해 볼 때 교과서에 바른 가치관이 내포되어야 영미 문화권에 대한 올바른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만약 교과서에 인종 차별적인 요소가 포함돼 있다면 학생들이 교과서를 통해 영미 문화에 대한 바른 판단력을 가지기 힘들며 인종적 편견이 조장될 수 있을 것이다. 편견을 좁히기 위한 노력으로 교육학적 관점에서 생각하면 앞서 언급했던 교과서의 중요성과 학생들에게 미칠 수 있는 영향력을 고려해 보았을 때 교과서에 학생들의 편견을 조장할 수 있는 요소가 존재하는지 비판적인 시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연구에 앞서 학생들의 인종차별에 관한 의식을 사전 조사하기 위해 부천에 위치한 중흥 중학교 3학년 남, 여 142명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인종적 편견을 가진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에 비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학생들이 이러한 인종 편견을 가지게 되는 하나의 원인으로 영어 교육에 있어 주된 교재로 사용되는 교과서에 인종적 편견을 주입하거나 고착화 시키는 요소가 있는지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다른 나라의 교과서 속 인종차별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Matsuda(2002)는 일본의 7학년 영어 교과서 8종을 분석한 결과에서 “교과서는 다양한 영어 사용자의 나라와 지역을 담아내지 못하고 백인 위주로 구성되어 있다”는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p. 197). 본 연구를 통해서 우리나라 교과서에 인종차별적 요소가 존재하는지, 존재한다면 어떤 형태로 나타나는지 특권을 받는 인종과 소외되거나 억압되어 나타나는 인종은 어떤 인종인지에 관해 비판적 페더고지(Critical Pedagogy)이론에 근거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여기서 Critical Pedagogy는 무엇인가 생각해 보자. Grammar Translation Method부터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영어 교수법이 개발되었고 현재도 효과적인 영어교육 방법을 위한 연구는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학생들로 하여금 Text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기르며 올바른 사고를 갖게 하기 위한 노력은 부족했다고 볼 수 있다. Critical Pedagogy이론은 학생들로 하여금 비판적 사고를 기를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비판적 사고로 교과서를 올바로 볼 수 있게 하기 위해 이러한 Critical Pedagogy이론을 활용하여 교과서를 분석하고자 한다.

more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방법 4

Ⅱ.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1. Critical Pedagogy란 무엇인가? 5
2. Critical Pedagogy의 근본이 되는 이론들 6
(1)정치학 7
(2)문화 7
(3)경제학 8
3. Critical Pedagogy와 힘/지식의 관계 10
4. 인종차별과 Critical Pedagogy 11
5. 선행연구 12

Ⅲ. 연구결과
1. 등장인물 빈도 수 14
(1) 인종별 14
1) 본문 14
2) Dialog 16
3) 분석 17
(2) 직업별 18
1) 본문 18
2) Dialog 23
3) 분석 28
2. 인종차별적 내용 및 삽화 분석 31
(1) 본문 31
(2) Dialog 34
(3) 분석 47

Ⅳ. 결론 및 제언 48

참고문헌 52

부 록 56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