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半島 大運河 建設에 따른 都市空間構造에 關한 硏究
- 주제(키워드) 공간구조 변화 , 공간형태
-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 지도교수 강성진
- 발행년도 2008
- 제출일 2008-7-6
- 학위수여년월 2008. 8
- 학위명 석사
- 학과 정책대학원 국토계획경제학과
- 원문페이지 79 p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1960년대 산업화의 진전과 함께 지난 수십 년 동안 인구와 산업의 계속적인 집중으로 과밀현상이 심화되었고, 국토 내륙의 대도시를 중심으로 규모의 불균형을 이루며 많은 문제점을 유발해왔다. 특히 내륙의 육로를 통한 도시중심의 발달은 서울을 중심으로 80년대에 접어들면서 자체의 성장 잠재력이 수도권 관련 정책, 신도시 건설, 도로확충에 따른 교통시설 발달, 사회경제적 구조의 변화등과 상승작용을 일으켜 분산적 도시화(decentrali zation)현상을 급속히 초래해 왔다. 이러한 현상은 주요도로(서울~부산간 경부고속도로)를 중심으로 주변도시의 관계보다는 하나의 대도시권으로 통합시키는 방향으로 지역적, 공간적 측면에서 변화하고 있어 기존의 도시성장 과정과는 다른 양상의 대도시권화 과정(metropolitanization)을 보여주고 있다. 도시의 공간구조는 정치, 사회, 문화적 제 현상들의 복합체로, 도시에 대한 이해는 이러한 현상들에 대한 설명에서 비롯될 수 있다. 또한 도시는 그 시대의 산물이며 시대상을 잘 반영한 공간형태이며 사회적, 기술적, 이념적 변화 등에 따라 살아 있는 유기체와 같이 끊임없이 변화한다. 이에 한반도 대운하건설이 도시의 공간구조 변화에 어떠한 요소로 작용할지에 대하여 객관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도시 공간구조의 변화에는 여러 요소가 작용할 수 있지만 본 연구를 통해 그 요소를 도출해 보고자 한다.
more초록/요약
For the last decades since 1960's when Korea began to be industrialized, population and industries have continued to be concentrated to make cities more and more crowded, while the inland metropolitan cities have grown, posing various problems including the unbalanced development among regions. Particularly by 1980's, development of the core cities along the inland roads would be combined with such trends as capital area policies, new town constructions, expansion of roads and development of traffic facilities and socio-economic structural changes to create a synergy effect for rapid decentralization. Due to such phenomenon, the regional and spatial changes have been made to create an integrated metropolitan sphere rather than set the inter-city relationships along the main axis (Seoul-Busan Express Way), which shows a metropolitanization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urbanization. The spatial structure of a city is a complex of various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phenomena, and therefore, understanding of a city should start with explanation of such phenomena. In addition, cities may well have been the results of the time, reflecting the image of their time, and therefore, continue to vary according to social, technological and ideological changes, just as a living organism does. So, it is deemed necessary to objectively examine the effects of the grand canal construction on changes of the urban spatial structure. With such background in mind, this study aimed to draw the elements possibly affecting changes of the urban spatial structure.
more목차
제1장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범위 2
제2장 이론적 고찰 5
제1절 도시공간구조에 관한 기초적 인식 5
1. 도시공간구조의 개념 5
2. 도시공간구조의 구성요소 6
제2절 국토종합개발계획의 변천과정 8
1. 제1차 국토종합개발계획 9
2. 제2차 국토종합개발계획 10
3. 제3차 국토종합개발계획 13
4. 제4차 국토종합개발계획 14
제3절 선행 연구 및 지역 활성화를 위한 제언 14
1. 대운하 관련 선행 연구 14
2. 도시공간구조 변화 16
3. 지역 활성화를 위한 제언 17
제3장 대운하 건설 계획 분석 18
제1절 대운하 건설 현황 분석 18
1. 일반현황 18
2. 하천현황 22
3. 관련계획 검토 23
제2절 주운계획 26
1. 기본방향 26
2. 터미널 계획 30
3. 사업비 산정 34
제4장 외국의 운하 사례 연구 37
제1절 독일 RMD운하 37
제2절 러시아의 운하 39
제3절 네덜란드의 운하 42
제4절 중국의 경항 대운하 44
제5장 대운하를 중심으로 한 도시공간구조 분석 47
제1절 지역 경제 발전 효과 47
1. 수도권지방분산 을 통한 지역균형발전 47
2. 중부내륙의 충청, 경북권의 도시 경쟁력 강화 48
3. 부산 경남권 산업공단의 활성화 50
제2절 지역특화산업을 통한 배후도시 성장 51
1. 물류․유통․산업․농공단지의 활성화 51
2. 배후 주거지 개발 및 숙박시설 활성화 53
제3절 운하개발에 따른 관광, 레저산업 성장 56
1. 문화 관광 벨트 수립 57
2. 747 무지개 문화 관광 벨트 59
3. 관광 산업의 파급 효과 62
제6장 요약 및 결론 64
1. 요약 및 결론 64
2. 향후 연구 과제 66
참고문헌 67
ABSTRACT 69